김성곤 (191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곤은 1913년 경상북도 현풍군 출생으로,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에 참여하고 기업 활동을 하였으며, 대한민국 제4, 6, 7, 8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1939년 삼공유지합자회사를 설립하여 기업가로 활동을 시작하여 금성방직, 동양통신, 쌍용양회 등을 인수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자유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민주공화당에서 활동하며 국회 재정경제위원장, 당무위원을 지냈다. 1971년 10.2 항명 파동으로 정계에서 은퇴한 후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1975년 사망하여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상공회의소 사람 - 태완선
태완선은 경상남도 하동군 출신의 관료, 정치인, 기업인으로, 국회의원, 부흥부 장관, 상공부 장관, 경제기획원 장관, 건설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 개발에 참여했고, 대한석탄공사 사장, 한국종합제철 사장, 대한중석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 대한상공회의소 사람 - 박두병
박두병은 동양맥주 설립을 통해 현대적 기업 경영의 기틀을 마련하고 두산그룹의 기반을 구축했으며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두산그룹 창업자이다. - 대한축구협회 회장 - 장택상
장택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임시정부 활동, 수도경찰청장, 초대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지지 후 야당 정치인으로 반독재 투쟁을 전개했다. - 대한축구협회 회장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달성군 출신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달성군 출신 - 추경호
추경호는 경상북도 달성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합격 후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국민의힘 원내대표이다.
김성곤 (191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성곤 |
출생일 | 1913년 8월 15일 |
사망일 | 1975년 2월 25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북도 현풍군 (현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김해 |
직업 | 기업인, 정치인 |
2. 생애
2. 1. 유년기 및 항일운동
1913년 경상북도 현풍군(現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아버지 김광도와 어머니 김봉옥 사이에서 출생하였고, 1929년 대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였다. 그러나 4학년 때 교내 항일운동을 주동했다는 이유로 퇴학당하여 상경,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2. 2. 기업 활동
김성곤은 1937년 보성전문학교 상과를 졸업하고 1939년에 비누공장인 삼공유지합자회사를 설립하였다. 해방 직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북지부에서 활동하였으며, 1946년 남조선로동당 재정부장으로 대구 10.1 사건에 연루되었다. 이후 서울로 올라가 대두유 비축으로 많은 돈을 벌게 되어 1948년 금성방직을 인수한다. 그러나 1950년 6.25전쟁으로 금성방직 안양공장에 화재가 발생하였다. 1952년에 동양통신을 창간하였으며, 1953년에는 연합신문을 인수, 1956년에는 태평방직, 아주방직을 인수하는 등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어갔다. 1959년 국민학원(국민대학교)를 인수하여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1960년에 대한유도회 회장에 피선되었으며 1962년에 쌍용양회를 설립하였다. 1965년에는 성곡언론문화재단, 성곡학술문화재단을 창립하였다. 1967년에 쌍용제지를 설립하였다.김형욱의 회고물과 김창룡 암살 사건 비화 작품에 의하면 대구 10.2 항쟁 당시 남로당 경북 지역 조직 내에서 자금 조달 관련 업무에 개입한 사실이 있으며 박정희 국가 재건 최고 회의 의장에게 경찰에 남은 관련자료 폐기를 부탁하는 과정에서 깊은 인연을 맺고 공화당 창당 및 정당 운영 관련 정치 자금 총책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고 전해 진다.
2. 3. 정계 입문 및 활동
1958년 자유당 소속으로 달성에서 제4대 민의원 선거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그러나 4.19 혁명으로 정계에서 은퇴하였다가 5.16 군사정변 이후 정계에 복귀하였다. 1959년 국민학원(국민대학교)을 인수하여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60년에는 대한유도회 회장에 선출되었고, 1962년에는 쌍용양회를 설립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되어 국회 재정경제위원장이 되었다. 1965년 민주공화당 재정위원장, 당무위원이 되었으며 성곡언론문화재단, 성곡학술문화재단을 창립하였다. 1967년 쌍용제지를 설립하고,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김형욱의 회고물과 김창룡 암살 사건 비화 작품에 따르면, 대구 10.2 항쟁 당시 남로당 경북 지역 조직 내에서 자금 조달 관련 업무에 개입한 사실이 있으며, 박정희 국가 재건 최고 회의 의장에게 경찰에 남은 관련 자료 폐기를 부탁하는 과정에서 깊은 인연을 맺고 공화당 창당 및 정당 운영 관련 정치 자금 총책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2. 4. 10.2 항명 파동과 정계 은퇴
1967년 김성곤은 길재호, 백남억, 김진만과 함께 민주공화당 내의 핵심인물이 되었다. 그 이후 1971년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1971년 10월 2일에는 야당과 동조하여 박정희 대통령의 명령을 어기고 오치성 내무부 장관 해임 건의안을 통과시켰는데, 이를 10.2 항명 파동이라 한다.김성곤은 10.2 항명 파동의 주동 인물로 지목받아 경위 조사를 받고 정계에서 은퇴했다. 그 뒤 1973년에는 대한상공회의소 제8대 회장을 지냈으며, 1974년에는 대한양회 인수, 한국신문연구소 회장 취임을 했다. 1975년 2월 25일 사망하였으며 가족장으로 국민대학교 뒷산에 안장되었다가 1984년 강원도 평창에 이장되었고, 2014년 고향인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으로 재이장되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2. 5. 정계 은퇴 이후
3. 논란 및 비판
3. 1. 남로당 활동 전력
3. 2. 독재 정권 협력
4. 가족 관계
부인 김미희(金美姬, 1920년 ~ 1981년)와 사이에 3남 3녀를 두었다. 장녀는 김인숙, 차녀는 김의정, 장남은 김석원(1945년 ~ 2023년), 삼녀는 김의령, 차남은 김석준(1953년 ~ ), 삼남은 김석동(1960년 ~ )이다.
5.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연도 | 선거 | 의원 수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횟수 |
---|---|---|---|---|---|---|---|---|
1958년 | 총선 | 4대 | 자유당 | 23,518표 | 72.75% | 1위 | 당선 | 초선 |
1963년 | 총선 | 6대 | 민주공화당 | 44,674표 | 64.75% | 1위 | 당선 | 재선 |
1967년 | 총선 | 7대 | 민주공화당 | 62,354표 | 73.96% | 1위 | 당선 | 3선 |
1971년 | 총선 | 8대 | 민주공화당 | 56,751표 | 73.87% | 1위 | 당선 | 4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